문화누리카드는 삶의 질 향상과 문화격차 완화를 위해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문화생활, 체육활동 등의 최소한의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마련한 국가 정책입니다.
지원대상은 6세 이상(2016월 12월 31일 이전 출생)이고 연간 10만 원을 지급해 드립니다. 전국 2만여 개의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고 모바일 앱도 마련되어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충전 및 신청방법
기존의 문화누리카드를 신청해서 가지고 있다면 자동으로 재충전이 되기 때문에 별다른 절차 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규로 신청하는 분들도 있으니 발급방법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
1. PC 홈페이지 누리집에서 신청
- 검색포털에서 '문화누리' 검색해서 접속합니다.
- 상단에 '카드발급/잔액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카드 발급(신규·재발급·재충전) 버튼을 클릭하여 순서에 맞게 신청을 하면 됩니다.
2. 모바일 앱 '문화누리 모바일 앱'에서 신청
- 앱스토어, 구글 PLAY 스토어에서 문화누리 앱을 다운로드 및 실행합니다.
- 상단에 '카드발급/잔액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카드 발급'을 버튼을 클릭하여 순서에 맞게 신청을 하면 됩니다.
3.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서를 제출하고 발급을 받습니다.
4. 2021년도에 문화누리카드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자동으로 지원금을 충전이 됩니다. 하지만 자동 재충전 자격이 없다면 ARS 전화를 통하여 간단하게 재충전할 수 있습니다. ARS 1544-3412로 전화해서 자동음성 안내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면 재충전을 어렵지 않게 재충전을 할 수 있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오프라인 사용처, 온라인 사용처는 어디일까요?
카드를 발급하고 충전이 되었다면 이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것인데요. 어디에 쓸 수 있는지 알아야 더 효율적이고 알차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및 온라인 사용처는 문화누리 홈페이지나 앱에도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은 영화 관람시에 2,500원 할인, 도서 구매 시 10% 할인, 스포츠 관림시 40% 할인, 코레인 문화누리카드 레일패스 구매 등이 있습니다.
- 도서 : 서점, 중고서점, 도서대여점, 온라인서점 등
- 음악 : 음반판매점, 음원콘텐츠사이트, 악기 판매 등
- 영화 : 영화관, 영화제 등
- TV :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 공연 : 공연장, 극단, 예술단, 아트홀 등
- 전시 : 미술관, 박물관, 비엔날레, 화랑 등
- 공예 : 공예품점, 화방, 표구사 등
- 사진관 : 사진관, 온라인 사진인화 업체 등
- 문화체험 : 문화센터, 공방, 문화재체험, 한복점, 방탈출 체험, VR방 등
- 교통수단 : 철도, 시외버스, 고속버스, 렌터카, 여객선 등
- 관광명소 : 국립공원, 시티투어, 케이블카, 모노레일, 천문대, 동굴, 영화 촬영장 등
- 캠핑장 : 휴양림, 캠핑장, 야영장 등
- 동·식물점 : 동물원, 식물원, 정원 등
- 온천 : 온천 등
- 체험관광 : 지역문화축제, 템플스테이, 레일바이크, 짚라인 등
- 테마파크 : 놀이공원, 워터파크, 아쿠아리움, 민속촌 등
- 숙박 : 호텔, 리조트, 콘도, 모텔, 게스트하우스, 민박 등
- 스포츠 관람 : 4대 프로스포츠(야구, 축구, 농구, 배구) 입장권, 국내 개최 국제 스포츠 경기 입장권 등
- 체육용품 : 체육사 및 체육용품점, 자전거 판매점 등
- 체육시설 : 수영, 헬스, 볼링, 요가, 에어로빅, 필라테스, 복싱, 탁구, 사격, 롤러스케이트, 승마, 스케이트, 스키, 태원도, 합기도, 스포츠댄스, 방송댄스, 레저스포츠 등
사용처에 대해 간단하지 않은 듯 간단하게 나열해 봤습니다. 세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업체는 위에서도 말했듯이 홈페이지 '문화누리' 또는 스마트폰 '문화누리 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사용처를 갈수록 확대하고 있다고 하니 우리의 문화생활에 도움이 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