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린이 물놀이 준비물과 주의사항

by 정보와 바다 2022. 5. 30.

여름철 휴가로 시원한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피할 수 있는 해변이나 계곡을 자주 찾게 됩니다. 하지만 잘못된 행동으로 인하여 물놀이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익사사고는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특히 7월에는 2배 이상으로 급증하게 된다고 합니다. 사고 연령도 9세 이하가 30% 정도라고 하니 자녀들과 물놀이를 할 때에는 안전수칙과 주의사항을 잘 지켜야 합니다.

 

 

 

물놀이 준비물

물놀이 준비물은 막상 챙길 때 생각하면 항상 한두 가지를 빼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의 준비물을 잘 살펴보고 재밌는 물놀이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모자, 수영장은 수영모자 필수
  • 선글라스
  • 선크림
  • 비치타월 또는 수건(아이와 함께한다면 몸을 다 덮을 만큼 큰 수건)
  • 돗자리
  • 비상약(해열제 챙겨가면 좋습니다.)
  • 여벌 옷, 방수 기저귀
  • 체온계
  • 물총
  • 구명조끼, 튜브
  • 얼음물(온열질환에 대비)
  • 방수팩
  • 세면도구
  • 수영복
  • 아쿠아슈즈 또는 슬리퍼

물에 들어가기 전에 안전수칙 확인

  • 어린이는 혼자 물에 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하며 반드시 어른과 함께 들어가야 합니다.
  •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튜브 등을 이용합니다.
  • 물에 들어가기 전에 심장에서 먼 손이나 발부터 물에 적신 후에 들어가야 심장마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팔 벌려 높이 뛰기나 팔굽혀기, 가벼운 러닝으로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고 물에 들어갑니다.
  • 밥을 먹은 직후에 물놀이를 하거나, 사탕이나 껌을 먹으면서 물놀이를 하면 안 됩니다.
  • 계곡에서는 슬리퍼보다는 아쿠아슈즈나 샌들을 신어 발바닥 부상을 방지합니다.
  • 수영장이나 계곡의 미끄러운 돌에서는 뛰어다니지 않아야 합니다.
  • 음주를 한 후에는 물에 절대 들어가서는 안됩니다(익사사고의 20%가 음주로 인하여 발생)
  • 물의 깊이는 무릎이나 배꼽 정도 되는 곳에서 노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음은 물놀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한 응급처치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물놀이 중 응급처치

1. 저체온증

몸의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진 경우를 말하고 제대로 된 응급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50분 안에 목숨을 잃을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입술이 파랗게 변하며, 의식을 잃게 되거나 몸의 기운이 없어 보입니다. 입술과 몸의 떨림도 동반합니다.

  •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합니다
  • 환자를 눕히고 이불과 담요를 덮어 체온을 높입니다.(체온이 높은 사람이 같이 붙어 있는 게 좋습니다.)
  • 옷이 젖었다면 마른 옷으로 갈아입힙니다.

2. 해파리에 쏘였을 때

해파리에 쏘였을 때는 쏘인 부위가 심한 통증과 함께 빨갛게 부어오릅니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구토와 호흡곤란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해파리에 쏘인 부위를 식염수나 바닷물로 10분 이상 세척해줍니다.(절대로 생수나 수돗물로 세척하면 안 됩니다._
  • 통증이 있는 부위에서 해파리의 촉수를 제거해줍니다.(핀셋이나 플라스틱 카드 이용)
  • 베이킹파우더가 있으면 상처부위에 발라줍니다.
  • 소염진통제가 구비되어 있으면 먹습니다.

3. 다리에 쥐 났을 때

  • 쥐가 난 다리를 풀기 위해서 힘을 주게 되면 몸이 가라앉게 됩니다.
  • 배영 자세를 취한 후에 주위에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수영에 자신이 있는 사람도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중이염 증상

귓속에 물이 들어가서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하여 감염이 되어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 물놀이 이후에 귀에 이물감 또는 통증이 있고, 열이 오른다면 중이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아이의 경우에는 귀를 자주 만지거나 유난히 보챈다면 의심할 수 있습니다.
  • 가까운 진료기관을 방문하여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결막염 증상

물놀이를 하는 경우에는 결막염이 특히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으로는 충혈, 이물감, 가려움, 눈곱 등이 있습니다.

  • 약국에서 안약을 사서 눈에 넣어줍니다.
  • 안약을 이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가까운 안과에서 진료를 받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온열질환(열사병, 일사병) 증상과 응급처치

실종에 대비하는 미아방지 지문등록 방법(아이, 치매노인, 장애인)

등산 준비물 및 필수품, 안전용품

 

 

 

댓글